매번 나를 고생시키는 깃...
이번 기회에 정복하기 위해 설정하는 방법부터 명령어까지 정리해본다..
1. Git 설치
아래 사이트에서 설치하면 npm과 git 모두 깔린다. (설치 후 폴더 우클릭시 GIT Bash가 깔려있다면 설치완료)
Git
git-scm.com
2. Git 명령어 정리
- cd /디렉터리 : 해당 프로젝트의 디렉터리로 이동 (change directory)
- git clone "깃주소" : 깃헙의 리모트 레파지토리를 해당 위치로 클론
- git init : 해당 디렉터리에 로컬 레파지토리를 생성 (.git 폴더가 생긴다.)
- git pull : 깃 풀받기
/* 브랜치부분은 더 공부해보자 */
- git checkout "브랜치이름" : 브랜치 선택하기
- git checkout "리모트주소" "브랜치이름" : 원격 브랜치 선택하기
- git branch -r : 원격브랜치 목록보기
- git branch -a : 로컬브랜치 목록보기
- git remote "깃주소" : 깃헙의 리모트 레파지토리와 현재 디렉토리를 연결
- git remote -v : 현재 연결된 리모트 레파지토리의 정보를 보여준다
- git add . : 지금까지 작업된 내역을 준비한다? (스테이지에 추가)
- git commit -m "메시지" : add된 내역들을 메시지와 함께 커밋한다.
- git push -u origin master : 실제 깃헙의 레파지토리에 커밋한 내역들을 푸쉬함. (실제 사이트에 반영)
'FrontEnd' 카테고리의 다른 글
destructuring 구조 분해 할당(비구조화 할당) (0) | 2021.04.05 |
---|---|
Module 및 Webpack 설정방법 (0) | 2020.08.04 |